
존 스타인벡은 소설 '분노의 포도(The Grapes of Wrath)'에서 소작농과 자본주와의 팽팽한 대립을 실감나게 묘사한다.
은행 빚을 갚지 못해 농장에 위치한 집을 철거 당할 위기에 처한 소작농과 그 집을 철거하러 트랙터를 몰고 온 기사의 긴박한 대화는 우리에게 참 복잡한 생각을 하게 만든다.
그 소작농은 기사를 향하여 으름장을 논다. 만일 내 집 가까이 다가오면 총을 쏴 죽여 버릴 것이라고.
동시에 농부는 절규한다. "나는 앉아서 당하기 보단 나를 굶주리게 하는 사람을 먼저 죽여 버릴 거야."
그러자 트랙터 기사는 말하기를. "너를 궁지에 몰아 놓고 있는 것은 결코 사람이 아니야. 그것은 다름아닌 자본이라는 괴물이야."
이 짧은 대화는 돈의 문제로 인한 인간소외와 계급갈등의 일면을 함축적으로 묘사한다. 부채를 못 갚아 생존의 터전마저 위협 당하 고 있는 소작농과 단지 자본주의 명령에 충실한 트랙터 기사의 대화 속에서 목격되는 사실은 오로지 자본의 회수를 둘러싼 첨예한 갈등 과 대립뿐이다.
채권회수를 위해 생존의 터전마저 서슴없이 강탈하려는 채권자와 그것을 지키기 위해서는 살인까지도 불사하겠다는 소작농의 완강한 태 도, 그러나 상대는 초월적 존재이기에 그 어떤 물리력으로도 결코 타도될 수 없다며 굴종을 요구하는 트랙터 기사의 으름장을 지켜 보 며 나는 몇 가지 물음을 던질 수 밖에 없다.
과연 자본과 노동과의 선한 연대는 불가능한 것인가? 자본은 무소불위의 괴물이며 착취자인가? 따라서, 노동은 끊임없는 투쟁의 탑을 쌓아 올려야만 하는가?
어찌 보면 산업혁명 이후 인류역사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과 다름 아닐 것이다. 공산주의자들이 자본을 사악한 것으 로 규정하여 노동의 입장에서 해법을 찾으려 했다면, 자본주의자들은 자본의 자정(自淨)능력에 믿음을 부여하고 자유경쟁의 시장 경 제 체제를 발전시키며 그 답을 찾으려고 노력했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양자의 접점 내지 연결고리를 찾을 수는 없는가? 나는 이 해묵은 물음에 대한 일정한 해답의 실마리를 찾게 된다. 바 로 199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사회책임투자 (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의 철학이 바로 그것이다.
사회책임투자란 돈 있는 주체들, 즉 자본가의 투자법을 말한다. 즉, 그들의 돈을 투자함에 있어서 단순히 재무적 이윤의 견지에서만이 아니라 사회적, 환경적, 기업 지배구조의 측면까지 고려하는 것이다.
따라서 '반사회적'이며 '환경 적대적'이고 '비윤리적'이며 '나쁜 지배구조'를 갖고 있는 기업들에 대해서는 어떠한 식으로든 자본가들로부터의 견제와 균형이 가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2000년 7월 3일 영국은 사회책임투자법을 제정함으로써 이 분야의 선도적 위치에 서게 된다. 이것은 단순한 정치적 제스처가 아니라 사회책임투자를 원하는 사회의 점증하는 요구에 대한 불가피한 응답이었다.
이 법안은 사회책임투자와 관련한 아주 정교한 투자원칙을 규정함으로써 런던금융시장의 투자자들을 긴장시킨다. 이 때부터 사회책임투자는 고루한 종교단체의 주장에서 일약 메인스트림의 투자원칙으로 자리잡게 된다.
특히 영국에서 이러한 투자가 정착되기까지는 연금 펀드가 큰 역할을 하게 된다. 즉, 현재 영국 주식시장에 있어서 최대 자본가는 시 가총액의 약 40%을 보유하고 있는 연금 펀드들이다. 그리고 이 연금펀드의 자금은 근로자들의 봉급에서 나온다.
따라서 연금펀드의 실질적 소유주는 아이러니 하게도 전통적 의미의 자본가들이 아닌 바로 근로자들 자신들인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영 국 증권시장의 최대 자본가가 근로자들이며 근로자들은 곧 최대 자본가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말이 된다.
이렇듯 연금 펀드를 매개로 자본과 노동이 상호 의존적인 접점을 마련하고 있다. 펀드의 투자 수익률이 노후 생활의 보장과 맞물려 있 는 상황이기에 근로자들은 연금펀드의 투자정책 입안시의 참여를 통하여 기업들에 대해 역설적으로 고배당을 요구하며 임금 인상의 억제 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도 한다. 즉, 근로자가 전통적 자본가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있는 입장의 전도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 다.
또한, 전통적 자본가들은 사회책임투자의 정신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화두를 붙잡게 된다. 즉, 주주이익 중심의 재무적 목표 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ESG측면, 이른바 환경적, 사회적, 기업 지배구조 측면도 함께 고려한다. 또한 여타 이해관계자들 이익 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며 이러한 기업들이 장기적으로 성장하며 지속 가능하게 발전한다는 실증적 데이터와도 만나게 된다.
나는 우리 사회의 극단적 대치상황에 주목한다. 노동과 자본의 해묵은 논쟁에서 한 치의 진전도 이뤄내지 못하는 경직성에 놀라게 된다.
그러나 이제 양 극단적 사고는 사회책임투자의 정신 속에서 만나야 한다. 따라서 자본은 노동의 입장에서, 또한 여타 이해 관계자들 의 입장에서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단순히 미덕과 선행을 베푸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장기적 관점에서 그들에게도 이익이 된다는 사실 을 깨달아야 한다.
한편 노동은 내 돈의 소중함을 통해 자본가들의 입장을 이해하며 상생의 단서를 찾아야 한다. 이러할 때, 자본은 괴물의 탈을 벗고 인간의 모습으로 우리들에게 다가올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