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1월 27일 금요일

[그린데일리_20091126] 내년부터 기업 녹색경영 성과정보 공개

정부는 내년부터 기업의 녹색경영 관련 성과 정보를 공개해 녹색 경영을 촉진함은 물론 투자기관의 녹색투자를 유도해 나가기로 했다. 또 2011년부터 기업의 녹색경영 활성화를 위해 ‘환경경영체제 인증’제도를 ‘녹색경영체제 인증’제도로 전환하고 환경친화기업제도도 녹색(경영)기업제도로 전면 개편한다.

 녹색성장위원회와 지식경제부·환경부·중소기업청은 오는 2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녹색경영 세미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녹색경영 확산방안’을 발표한다.

 정부는 기업의 녹색경영 관련 성과정보를 공개해 녹색경영을 촉진하고 금융기관과 투자자의 녹색투자를 유도하기로 했다. 당장 2010년부터 환경친화기업을 대상으로 공개를 추진하고 2011년부터 상장사 등으로 공개대상 기업을 확대키로 하였다. 이를 위해 금융위·한국거래소와 협의를 통해 상장규정·공시규정 개정 추진하기로 했다.


ESG성과가 좋으면 투자성과도 좋다!

출처: http://www.socialfunds.com
날짜: 2009.11.18
기사 원문 보기:

Studies Find Positive Link Between ESG Integration and Investment Performance

Mercer는 2007년 발간한 보고서에 이어 ESG에 대한 학계연구 실태와 ESG에 대한 고려가 긍정적 투자성과로 귀결되는지를 평가하였다.

'Shedding light on responsible investment: Approaches, returns and impacts'라는 타이틀로 발간된 새 보고서에 따르면 16개의 학계연구 중 10개가 ESG에 대한 고려와 재무적 성과간의 긍정적 상관관계를 찾아냈다고 한다. 단 2개의 연구에서만 중립-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 하였으며 나머지 4개의 연구에서는 중립적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 하였다.


 

펼쳐두기..

2009년 11월 24일 화요일

[동아일보_20091119] 녹색 핵심 5대산업 선정 초읽기

온실가스 감축안 후속조치… 이르면 내달초 발표

온실가스 감축안 확정에 이은 후속조치로 정부가 ‘녹색 핵심 5대 산업’ 선정에 본격 착수했다. 산업연구원은 18일 “녹색 핵심 산업을 빠른 시간 안에 선정해 이르면 다음 달 초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식경제부가 산업연구원에 의뢰한 녹색 핵심 5대 산업 선정 작업은 8월 시작됐지만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안이 정해지지 않아 지금까지 뚜렷한 결과를 내지 못하고 있었다. 산업연구원은 “핵심 산업 선정에 그치지 않고 구체적인 지원 방안까지 함께 발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선정 작업에는 지경부 외에도 농림수산식품부, 국토해양부, 환경부 등이 참여하고 있으며, ‘녹색산업’에 대한 정부 지원 의지를 산업계에 보여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YTN_20091120] 전국 첫 공익형 탄소기금 조성

[앵커멘트]

전국에서 처음으로 울산에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공익형 탄소기금'이 설치된다고 합니다.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기술개발에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됩니다.

김인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울산의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입니다.

이 시설은 폐기물을 소각하면서 열로 스팀을 생산해 인근 공단공급해서 연간 5,000여 만 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여기다 폐기물 매립지에서 발생한 매립가스를 팔아 연간 9,000여 만 원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렇게 온실가스 감축사업으로 얻는 수익은 연간 2억 3,00여 만 원입니다.

[매경이코노미_091125] 국내 기업 탄소경영 어디까지 왔나

경제 규모 세계 13위, 온실가스 배출량 세계 9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이면서 온실가스 배출 증가량 세계 1위.

기후변화와 관련 국제사회에서 한국이 처해 있는 객관적인 위치다. 이 같은 수치는 한국이 기후변화 협상에서 의무감축국 편입이라는 공격과 압력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실제로 그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실제적인 논리를 제공한다.

우리나라도 2020년까지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추진하고 있다.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등 기업들의 탄소경영을 촉진하기 위한 각종 제도·법·정책 등을 쏟아내고 있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 문제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아직 세계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전 세계 475개 금융투자기관의 글로벌 이니셔티브인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Carbon Disclosure Project) 결과는 우리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수준을 잘 보여준다.

2009년 11월 23일 월요일

[매경이코노미_20091118]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지속가능경영대상 수상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64)이 제4회 지속가능경영대상 대통령표창을 수상했다. 지식경제부가 주최하고 대한상공회의소, 한국표준협회, 산업정책연구원이 공동 주관하는 제4회 지속가능경영대상 시상식에서 윤석금 회장은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강력한 실천 의지와 사회적 확산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한국경제_20091118] [사회공헌기업대상] 나눌수록 커지는 '따뜻한 경영' …행복이 꽃핀다

자원봉사·국제구호·문화행사 등

景氣 상관없이 사회적 책임 실천


#1.대한생명의 신입사원 및 신입FP 교육과정에는 봉사활동이 필수과목으로 들어가 있다. 입사는 곧 2만5000여명으로 구성된 이 회사의 '사랑모아봉사단'에 소속됨을 뜻한다. 회사 전 임직원은 연간 근무시간의 1%(약 20시간) 이상을 자원봉사활동에 할애해야 한다. 몸을 움직이는 수고뿐만 아니라 기금도 직접 마련한다. 사원들은 매월 급여의 일정부분을 사회공헌기금으로 적립하는 '사랑모아 기금제도'를 통해 봉사기금을 내고,회사는 매칭그랜트(Matching Grant) 제도를 이용해 직원 모금액과 같은 금액을 출연하고 있다. 경제위기가 심화됐던 올해도 이 같은 원칙은 변함없이 지켜지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즈_20091123] 하나대투證, 현대 DJSI Korea인덱스 주식형펀드 발매

하나대투증권(사장 김지완)은 지속가능성 상위기업으로 구성된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 Korea)의 성과를 추종하는 현대 DJSI Korea 인덱스 증권 투자신탁을 23일부터 판매한다고 밝혔다.

현대 DJSI Korea 인덱스 주식형펀드는 국내 주식시장 상위 200개 기업 중 지속 가능 경영성과가 우수한 상위 30% 이내의 기업으로 지수가 구성된 다우존스 지속가능 경영지수에 투자하는 인덱스 펀드이다.

뉴스 더보기

2009년 11월 20일 금요일

CDP Water Use Disclosure Initiative가 출범합니다.

2003년 이후 꾸준히 기업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경영 정책과 온실가스 배출 정보 공개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성공을 거두었던 CDP(Carbon Disclosure Initiative)가 이제 기업들의 물 사용량 및 수자원 관리 정책에 대한 정보 요구에 나선다고 합니다.

최근 기후변화와 함께 전세계적으로 물 부족 및 수자원 관리의 위기가 도래한 상황에서 기업과 투자자에게는 수자원이 다시 한번 기회와 위험 요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에 CDP에서는 탄소정보 공개의 노하우와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물정보 공개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CDP의 Water Disclosure 개요


Context
Water is often undervalued and wasted – the OECD forecasts that 47% of world population will be living in areas of high water stress by 2030 unless new policies are introduced. Water, like climate change, is set to be a key issue for the 21st century.
It is through water that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re most likely to be felt, with changing patterns of precipitation and melting glaciers affecting the supply of this critical resource. At the same time population growth, urbanization and rising per capita consumption are expected to result in rapidly increasing demand for water.
Businesses will be impacted positively and negatively, and will have a significant role to play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solutions to the water challenge. At present, however,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water-related risks and opportunities is generally limited in the business and investment communities.

Objectives
CDP Water Disclosure will provide critical water-related data from the world’s largest corporations to inform the global market place on investment risk and commercial opportunity. We will request information on the risks and opportunities companies face in relation to water; on water usage and exposure to water stress in companies’ own operations and in their supply chains; and on companies’ water management plans and governance. This data will provide valuable insight into the strategies deployed by many of the largest companies in the world on water and will be used to help drive investment towards sustainable water use.

Who will disclose to CDP Water Disclosure?
In 2010 a questionnaire will be sent to approximately 300 of the world’s largest companies (by market capitalization) in water-intensive sectors. These sectors include chemicals, fast moving consumer goods, forestry and paper products, food and beverage, mining, pharmaceuticals, power generation,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n future years the questionnaire will be sent to an increasing number of companies in water-intensive sectors and in regions facing water stress.

Become a signatory
Institutional investors including banks, pension funds, asset managers and insurance companies who sign our questionnaire will be known as 'CDP Water Disclosure signatories'.
There is no charge for a financial institution to become a signatory and enjoy free access to all corporate responses to CDP Water Disclosure.
To find out how to become a signatory, please contact Marcus Norton at marcus.norton@cdproject.net.

Process and timeline
 December 2009 - January 2010 Consultation phase for questionnaire
 February - March 2010 Signatories review and sign the questionnaire
 April 1st 2010 CDP Water Disclosure issues the questionnaire to approximately 300 of the largest corporations globally by market capitalization in water-intensive sectors
 July 31st 2010 Deadline for companies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October - December 2010 Findings launched


Reports and latest news
Read our report on the case for water disclosure.
You can view our press release announcing the launch of CDP Water Disclosure here.

Exchanges and Sustainable Investment



2009년 11월 16일 월요일

[이투뉴스_20091116] 기후변화 협약 '암울한 코펜하겐' 예고

서울서 '코펜하겐 워크숍' 비관론 팽배…전망 '안갯속'
"한국 경제성장·기후변화 둘다 잡기는 욕심" 지적 지배적

 

코펜하겐 기후변화 협약을 3주 앞둔 지난 13일 미국, 중국, EU, 멕시코, 한국 등 협상대표단이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콘티넨탈 호텔에 모여 벌인 토론은 감축률과 시기 등에 여전히 이견을 보여 '암울한 코펜하겐'을 예고했다. 

이날 '코펜하겐 기후변화 회의에 관한 워크숍'에서는 흡사 코펜하겐 회의를 방불케하는 열띤 토론이 벌어졌다.

'포스트 교토' 시나리오 이후 하나의 기후변화체제를 만들어야 한다는 당위성에는 모두 공감했지만 여전히 EU와 호주 등 선진국과 중국 등 개도국의 입장 차이는 좁힐 수 없었다. 하나의 기후변화체제를 만들어야 한다는 근본 취지에는 미국이나 중국 모두 동의했다.

정래권 기후변화특별대사는 "무엇이 세계를 하나로 묶을 수 있을까. 선진국이든 개도국이든 기후변화체제의 통합된 하나의 체제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우베 비센바흐 EC대표부 정책자문관도 "기후변화체제에 하나의 틀이 필요하며, 앞으로 기후변화 체제는 법적 규제가 될 수 있다"고 피력했다.

기사더보기

[경향신문_20091115] 기대되는 한·중·일 기업의 사회책임경영 공조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확산에 공동 보조를 취하기 위한 한·중·일 3국 기업들의 의미 있는 협력틀이 생겨났다. 유엔글로벌콤팩트(UNGC)의 한·중·일 각국 협회 대표들이 지난 주말 서울에서 첫 라운드테이블 회의를 열고, 앞으로 해마다 정기적으로 만나 CSR 활동의 성과를 공유하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CSR가 강조되고 새로운 한·중·일 연대가 모색되는 시점에서 경제적 성장에 몰두해온 3국의 기업들이 사회책임경영이란 비경제적 영역에도 눈을 돌려 협력을 다짐한 것은 고무적이다.

기사더보기

[데이터넷_20091115] CA, SaaS로 이용하는 환경 솔루션 출시

한국CA(사장 김용대, www.ca.com/kr)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탄소 관리, 환경 평가, 에너지 사용 관리를 돕는 'CA 에코소프트웨어(CA ecoSoftware)' 신제품을 발표했다.

CA 에코소프트웨어는 기업들이 지속가능경영 이니셔티브를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 실행하고 결과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에너지와 천연자원 소비에 대한 높은 신뢰성의 측정과 보고, 탄소배출량 기록, 그리고 데이터센터 및 시설물의 에너지 소비 절감을 지원한다.

 

기사더보기

2009년 11월 13일 금요일

[연합뉴스_20091113] 韓.中.日, 기업사회책임 확산 합의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산하 한국과 중국, 일본 3국 협회는 13일 오전 서울 하야트호텔에서 `2009 UNGC 한ㆍ중ㆍ일 콘퍼런스'를 갖고 아시아 경제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CSR) 확산을 위해 공동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UNGC는 지속 가능하고 책임 있는 기업 경영을 추구하는 유엔 산하 기구로, 인권과 노동규칙, 환경, 반부패 등 4개 분야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완수에 필요한 10대 원칙 준수를 강조하고 있다.

뉴스 더보기

[그린데일리_20091113] 2030년 CO₂배출량 2005년대비 50% 증가 전망

세계 각국이 현재까지 채택한 에너지 정책을 모두 동원해도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CO₂)배출량이 50% 가까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지식경제부는 최근 IEA가 발표한 ‘세계에너지전망 2009’를 인용, 각국 정부가 올해 중반까지 실행·채택한 에너지정책 효과를 반영해도 에너지 연소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2007년 28.8G톤에서 2020년 34.5G톤, 2030년 40.2G톤으로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12일 밝혔다.

뉴스 더보기

2009년 11월 11일 수요일

[중앙일보_20091111] 국제 반기문 총장, 美의회 방문…기후변화 대처 촉구

케리 `대강의 틀이라도 회의에 가져갈 것`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10일(현지시각) 워싱턴 D.C.를 방문, 미 상원의원들과 잇따라 만나 미국의 적극적인 기후변화 대응을 주문했다.

반 총장의 미 의회 방문은 지구온난화를 늦추기 위한 교토의정서 후속 협약을 논의할 다음달 코펜하겐 유엔 기후회의를 앞두고 이뤄진 것이다.

뉴스 더보기

2009년 11월 9일 월요일

뉴미디어를 활용한 소비자와 기업간 기업책임에 대한 대화

출처: http://www.socialfunds.com
날짜: 2009.10.21
기사 원문 보기:

Consumers Are Using New Media to Engage with Companies on Issues of Corporate Responsibility 

Cone이 수행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미국의 뉴미디어 사용자들이 온라인 경로를 통한 기업의 의사결정에 대한 영향력 행사 노력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고 전해졌다.
 
최근 설문조사에서 미국 뉴미디어 사용자들의 44%가 소셜네트워크나 블로그, 온라인 게임 등과 같은 온라인 경로를 통해 기업책임(Corporate Responisiblity)의 노력과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찾고, 공유하고, 토의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Cone(브랜드 전략과 커뮤니케이션 에이전시)에 의해 진행된 이번 설문조사에서는 CR과 같은 브랜드 마케팅과 코즈 브랜딩 분야에서의 조사가 이루어졌다.


 

펼쳐두기..

[연합뉴스_20091109] 적대적 M&A 힘들어진다…`포이즌필' 도입

정부가 `포이즌필'(poison pill) 도입을 골자로 하는 상법에 개정에 나서 적대적 인수.합병(M&A)에 대한 방어 수단이 마련될 전망이다.

법 무부는 주주총회의 특별 결의로 정관을 변경해 신주인수선택권을 도입할 수 있고, 이후 적대적 M&A 상황이 벌어지면 이사회 결의만으로 인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도록 포이즌필을 도입하는 내용의 상법 개정을 추진 중이라고 9일 밝혔다.

뉴스 더보기

[아시아경제_20091109] 동부화재, DJSI 보험업 '1위' 기업가치 레벨업

동부화재가 제3의 도약을 하기 위해 변화와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62 년 자동차보험 전문회사로 창업한 동부화재는 1983년 한국자동차보험을 인수하면서 풍파를 맞았다. 당시 은폐된 적자가 2000억원에 달했던 것. 많은 전문가들이 몰락을 예견했지만 동부화재는 오히려 업계를 선도하는 대표 기업이 됐다. 특히 자동차보험에서는 '프로미'라는 브랜드를 앞세워 확고부동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뉴스 더보기

[한겨레_20091028] 글로벌 CSR성적 첫 발표

글로벌 펀드들의 투자운용 기준인 ‘파이낸셜타임스 스톡익스체인지’(FTSE) 선진국 지수에 편입된 국내 기업의 사회책임경영(CSR) 평가 결과가 처음으로 발표된다.

한겨레경제연구소(HERI)는 27일 런던증권거래소의 사회책임투자 지수(FTSE4GOOD)의 조사분석을 맡고 있는 아이리스(EIRIS, Ethical Investment Research Services)와 공동으로 FTSE에 편입된 국내 기업의 사회책임경영 평가 결과를 오는 12월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이리스 모델과 같이 국제적으로 공인된 기준을 들여와 국내 기업의 사회책임경영 수준을 경제·사회·환경 등 부문별로 평가하는 것은 국내에서 처음 시도하는 작업이다.

 

기사더보기

[머니투데이_20091104] 나노엔텍, 지속가능경영 지경부 장관상 수상

나노엔텍(대표 장준근)이 4일 지식경제부에서 주관하는 '제4회 지속가능경영대상'중소기업 부문 대상에 선정돼 지식경제부 장관상을 수상하게 됐다고 밝혔다. 나노엔텍은 벤처기업으로서는 처음으로 지난해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한 후 매년 보고서를 내고 있다.

장준근 사장은 "지속가능경영은 벤처기업이나 중소기업에서 진지하게 고려해야 할 주제"라며 "벤처기업의 성공 가능성이 5% 이하인 상황에서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지속가능경영'을 벤처기업에서 보다 더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더보기

[뉴시스_20091105] 전경련, "중소기업, 윤리경영 도입 필수"

"대기업들이 지난 10여년간 윤리경영을 추진한 경험과 관련 시스템을 공유해 중소기업의 윤리경영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 추진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윤리경영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협력업체 관련 윤리지침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며 "이러한 대기업의 중소기업에 대한 윤리경영 및 CSR 실천 지원은 대·중소기업간 신뢰관계를 증진할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들에게도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것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사더보기

2009년 11월 5일 목요일

[세계일보_20091105] 온실가스 2020년까지 4% 감축 유력

정부가 이달 중순 확정할 국내 온실가스 감축 중기 목표치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2020년까지 2005년 대비 4% 감축하는 방안이 가장 유력한 것으로 5일 전해졌다.

4% 감축안은 국제사회가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없는 개발도상국들에 요구하는 최대 감축 수준으로, 국내 기업들은 이에 반발하고 있다.

청와대 정책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온실가스 감축목표로 검토 중인 3가지 안 가운데 감축 폭이 가장 큰 4% 감축안이 유력하다"면서 "더 큰 관점의 국가 이익을 생각하면 그렇게 가야 한다"고 말했다.

 

뉴스 더보기

2009년 11월 3일 화요일

[내일신문_20091103] ‘자동차 온실가스규제’ 도입 최대쟁점

업계 반대로 정부 입장 번복 … 배출권 거래제 도입도 관심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 전략을 뒷받침할 녹색성장기본법의 국회 심의가 2일 시작됐다. 국회 기후변화특별위원회(위원장 이인기 의원)는 2일 간담회를 연데 이어 3일과 4일 법안심사소위원회를 열어 법안을 다룰 계획이다.

녹색성장기본법의 쟁점은 크게 △자동차 온실가스 배출규제 △배출권 거래제 △감축목표 명기 등 세 가지다. 이들 쟁점은 우리 사회와 경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내용이란 점에서 관련 업계의 로비가 치밀하게 벌어지고 있어 입법과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뉴스 더보기

2009년 11월 2일 월요일

[매일경제_20091102] 서스틴베스트, 영국 트루코스트와 양해각서 체결

지속가능책임투자(SRI) 평가와 자문업을 하고 있는 한국업체인 서스틴베스트는 영국 트루코스트(TRUCOST)사와 사업 제휴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트루코스트社는 자체 개발한 환경영향평가모델을 보유한 업체로 세계 4500여개 기업의 환경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이를 활용해 글로벌 지수 업체인 S&P와 함께 녹색기업 평가를 비롯해 녹색 지수 사업을 펼치고 있는업체다. 이밖에도 뉴욕증권거래소, 도이체 방크, UBS와도 업무 제휴를 맺고 있다.

매일경제 뉴스 바로가기



[이데일리_20091102] 펀드 변해야 산다 `기본으로 돌아가자

`바쁠수록 돌아가라` 펀드업계도 마찬가지인 듯 하다. 시장 침체기를 지나온 이후 좀체 자금유입이 나아지지 않는 속에서 펀드업계는 기본으로 돌아가 성장 전략을 다지기 위한 움직임이 한창이다.
 
올해들어 글로벌 주식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펀드업계도 다시금 신발끈을 고쳐매고 성장의 기회를 향해 달릴 준비를 하고 있다. 지금과 같은 펀드시장 정체기를 틈타 성장을 위한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한다는 전략이다.

뉴스 더보기